눈은 구름 속 물방울이 생성되는 것과 유사하며 구름 속 수증기는 먼지나 다른 미세 물질로 만들어진 응결핵 주변에 모여듭니다. 온도가 어는점에 다다르면 물이 모이면서 얼음 결정체를 만들게 됩니다. 이 얼음 결정체인 눈이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겨울에 호수는 왜 얼지 않는가
물의 온도가 4도 이하로 떨어지면 물은 가벼워지면서 부력이 커집니다. 따라서 호수나 연못에 얼음이 얼면 물이 얼음보다 무겁기 때문에 얼음은 수면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러한의 물의 특성 때문에 물에서 사는 식물, 동물은 얼음 아래서 생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얼음 싸라기, 진눈깨비, 우박의 차이
얼음 싸라기는 액체 형태로 떨어지지지만 어는점 이하의 온도를 가진 물체에 닿는 순간 얼음으로 변하며 우방이라 불리는 매끈한 얼음 코팅을 만들게 됩니다. 얼음 싸라기는 대기의 온도에 따라 눈이나 비로 변하여 오랫동안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진눈깨비는 얼은 비로 상층의 따뜻한 공기층으로부터 떨어지는 비가 지표면 근처 영하의 공기층을 지나면서 만들어집니다. 투명하나 단단하고 아주 작은 싸라기는 땅에 매우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소리를 내면서 땅을 닿은 후 튀게 됩니다. 우박은 진눈깨비와 다르지만 모양만 보면 진눈깨비보다 커진 것처럼 보입니다. 우박은 강수의 한 형태로 우박 속 눈 결정들이 얼고 녹음을 반복하면서 만들어집니다. 우박은 전란운이나 뇌우에서 주로 발생하며 과냉각된 물방울과 얼음이 먼지와 같은 미세 입자에 붙으면서 만들어지는데 상승 또는 하강 기류를 따라 과냉각된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물방울이 첨가되고 빙결이 반복되면서 우박의 얼음층이 늘어나면서 커집니다. 우박은 상승 기류로도 못버틸경우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박은 지름이 약 0.6cm가 됩니다. 하지만 1939년 인도 하이데라바드 주에 떨어진 우박의 무게는 3.5kg에 달했으며 1986년 방글라데시에서는 1.2kg의 우박이 떨어진 것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발견된 가장 큰 우박의 크기는 2003년 네브래스카 주에서 발견된 우박으로 지름이 48cm에 달했습니다.
눈송이 분류체계
공식적으로 분류된 눈송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별 모양의 접시형으로 6개의 넓은 팔이 달린 접시 모양으로 각 면마다 정교하고 대칭적인 무늬가 있으며 두 번째, 부채꼴 모양 접시형은 모서리가 조금 더 뾰족하고 부분적으로 물결무늬가 있습니다. 세 번째, 모자 쓴 기둥형은 육각형 기둥 양쪽에 얇게 육각형 판 모양의 눈송이가 붙어 있습니다. 네 번째, 두 개의 판형은 두 육각형 판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한쪽이 수증기를 빼앗아가 성장을 방해하여 크기가 다릅니다. 다섯 번째, 갈라진 판과 별형은 두 개의 각기 다른 판으로부터 떨어진 조각들이 합쳐져 판을 이룬 형태며 6개의 팔이 한 개의 판처럼 보입니다. 여섯 번째, 단순한 프리즘형은 아주 작고 넓은 육각형의 눈송이로 면마다 톱니, 물결 모양을 갖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줄기와 곁가지를 가진 별형은 각각 6개의 팔에서 다수의 줄기와 곁가지가 뻗어 나온 형태로 길이가 2~3mm여서 육안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여덟 번째, 양치식물 닮은 별형은 양치식물처럼 많은 주름 장식을 가진 눈송이로 모양은 5mm 이상으로 가장 큰 크기의 눈송이입니다. 아홉 번째, 바늘형은 가늘고 긴 얼음결정으로 바늘 모양의 눈송이는 온도가 영하 5도 이상일 때 만들어지는데 온도에 따라 바늘의 길이와 두께가 결정됩니다. 그 밖에도 12면체 결정형, 속이 빈 기둥형, 불규칙형 등이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눈은 내리는가
날씨가 아무리 추워도 공기에는 일정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는 아주 미세한 눈이 되어 내릴 수 있습니다. 만약 날씨가 추운데 눈이 내리지 않는다면 공기가 건조한 탓입니다. 실제로 폭설은 온난 전선에 앞서 다가오는 다소 온난한 공기와 관련이 높고 주로 저기압이 강한 북서쪽에 잘 발생합니다. 양극 지역에 여러 해 동안 눈이 쌓이는 것을 보면 아무리 추워도 눈은 내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눈을 이용하여 몸 따뜻하게 하기
눈은 절연제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바람이 부는 반대쪽에 눈 표면으로부터 약 2m 정도 파내면 효율적입니다. 눈을 이용하여 만든 임시변통 구조가 무려 15도까지 온도를 올릴 수 있고 내부는 상당히 아늑합니다. 겨울에 길을 잃는 일이 생길 경우 눈 동굴은 추위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Life Information >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케인 몬순 태풍 열대폭풍 기원 원인 상식 (0) | 2021.02.19 |
---|---|
날씨 강수 강수량 비 물 가뭄 빗방울 측정 방법 (0) | 2021.02.17 |
날씨 구름 형태 종류 (0) | 2021.02.16 |
날씨 계절 역사 기초 상식 기관 (0) | 2021.02.15 |
댓글